돈과제테크
-
사채의 종류와 의미(용어의 의미)돈과제테크 2024. 7. 25. 21:09
용어용어의 의미교환사채EB : Exchangeable Bond채권의 종류. 약정된 기간 중 약정된 비율에 따라 특정한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채권.주식으로 전환되지 않을 경우 일반채권과 동일한 효과를 가짐.전환대상인 주식이 발행자의 주식이 아니라 제 3의 기업의 주식이라는 점에서 전환사채와 차이가 있음.변동금리부채권FRN : Floating Rate Note채권의 종류. 이자율이 사전에 약정된 방식에 따라 시중 이자율에 연동되도록 설계된 채권보증부 사채Guaranteed Bond채권에 명기된 발행자의 의무 이행을 제 3자가 보증한 채권. 보증자의 신용도를 고려하여 평가함.신주인수권부사채BW : Bond with Warrants채권의 종류. 특정 가격에 발행자의 주식을 구입할 수 있는 권리(..
-
[부동산] 아파트를 최저가에 사는 방법과 스킬적인 부분 알려드림돈과제테크 2023. 8. 15. 04:24
1. 아파트의 최저가는 시기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종종 이런 질문들은 한다. 입주장에 사면 싸게 살까요? 금리인상 시점에 사면 기회가 있을까요? 맨날 언제 사야 싸게 살까요? 이런 개같은 질문만 하고 자빠 졌으니 네가 아직 집이 없는 거야. 물론 대세 상승기과 하락기가 있고 비수기와 성수기가 있지만 최저가는 매도자의 상황에 따라 단지 별로 큰 편차가 있다. 2. 일단 입주를 원하는 동네와 단지를 몇 군데로 압축해야 합니다!! 부동산을 산다면서 강남 갔다 강북 갔다 서울갔다 경기도 갔다 갈피를 못 잡고 왔다갔다만 하다가 세월 다보내는 망청이들이 있다. 이건 실거주와 주거 안정보다 오로지 돈돈 많이 오를 데만 찾는 병신들의 패턴이다. 물론 지방에 살아서 투자만 서울에 하는 경우도 있지..
-
전세사기 성립 요건 6가지와 실질적인 대책돈과제테크 2023. 5. 6. 09:47
전세사기 성립 요건 6가지와 실질적인 대책 전세사기 대책이 나왔다. 2023.4.27. 전세사기 대책이 발표됐다. 윤석열 정부는 전세사기 근절을 위해 총력을 다 하겠다는 입장인데 2023년 현재의 전세사기 문제는 사회적으로 지금 이슈가 되고 있지만, 사실상 2021년 문재인 정부때 계약했던 전세 계약이 현재 터지고 있다. 이에, 윤석열 정부는 전세사기에 대한 대책으로 HUG 전세보증의 강화, 안심전세앱 출시, 중개사, 감평사 처벌강화와 같은 대책들을 들고 나왔고 범 정부 차원에서 특별단속으로 전세사기 임대인등 209명을 구속했다고도 했다. 따라서 향후에 새로운 전세가기 계약이 체결된 가능성은 낮아졌지만 과거에 체결된 전세사기 계약 만료 도래로 당분간 피해는 지속될 우려가 있다고 했다. 전세사기 특별법 지..
-
[재무제표] 선수금, 선급금, 예수금, 선대금의 차이점돈과제테크 2023. 4. 28. 17:11
- 선급금(先給金) 매입처에 대하여 상품, 원재료의 매입을 위하여 또는 제품의 외주가공을 위하여 먼저 지급한 금액을 말한다. 선급금으로 처리할 수 있는 거래는 그것이 정상적 영업 순환과정에서 일반적 상거래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후에 매입계정으로 대체될 수 있는 것에 한한다. 일반적으로 선급금은 상품 등 재고자산을 청구할 권리가 있는 것이므로 금전채권으로 볼 수가 없어 대손충당금을 설정할 수가 없다. 그러나 법인세법은 정상적인 영업거래에서 발생한 선급금은 대손충당금을 설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 선대금(先貸金) 기업이 앞으로 지급할 금액에서 일부 또는 전부를 종업원 등 관계자에게 미리 지급하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종업원에게 지급할 급여를 일부 또는 전부를 미리 지급하는 것으로 보통 가불..
-
보금자리론 받은 후 추가 주택 취득시 대출 상환해야 한다?돈과제테크 2023. 4. 3. 00:58
서민 금융상품인 보금자리론을 받고 나서 추가 대출을 구입하면 대출을 상환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한국주택금융공사의 공식 답변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요약하자면 과거 문재인 정권에서 보금자리론 대출을 받았다면 대출을 상환해야 하는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그 전에 대출 받은 사람은 상환하지 않아도 됩니다. 아래는 주택공사의 공식 답변 입니다. ↓↓↓↓↓↓↓↓↓↓↓↓↓↓↓↓↓ ㅇ (2018.12.25까지 신청하신 경우) 보금자리론 실행 후 취득하신 주택에 대해서는 검증하지 않습니다. 대출실행 후 주택을 취득하셔도 이미 실행하신 보금자리론은 계속 이용 가능하십니다. ㅇ (2018.12.26이후 신청하신 경우) 보금자리론 실행 후 이용자격 유지여부 확인을 위해 대출실행 이후 3년 마다 담보주택 외..
-
펀드와 ETF의 차이점 초간단 알려드림돈과제테크 2022. 12. 17. 09:46
펀드와 ETF의 차이점***** [펀드] 펀드는 펀드매니저가 직접 종목을 고른 것으로써, 여러 주식들을 모아놓은 하나의 상품이다.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비싸고, 원하는 가격에 실시간으로 매매가 불가하다. 즉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매매가 불가능하다. 펀드 매니저가 종목을 고르기 때문에 펀드 매니저의 역량이 중요하다. 펀드 매니저가 만든 하나의 상품인 펀드에 가입을 하는 것. 펀드 중에는 인덱스 펀드라는 것도 있는데 ETF처럼 종합지수를 추종해서 만든 패시브 펀드와 매니저들이 입맛대로 골라서 만든 엑티브 펀드가 있다. 엑티브 펀드 종류가 훨씬 많은데 그 이유는 엑티브 펀드가 수수료가 비싸기 때문에 증권사들이 수익성을 위해서 많이 만들기 때문이다. [ETF] 지수 자체에 투자하는 것으로, S&P500 같은 지수 ..
-
말소기준권리와 명도에 대해서돈과제테크 2022. 10. 20. 10:39
부동산은 용어와 다양한 상황에 대한 이해가 탄탄해야 공력 가능한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부동산은 경험이 중요하다. 때문에 작은 이익이라도 만족하고 오히려 경험 위주의 실천이 중요하다. 작게 남는 것이라고 해도 한번 해보는 것과 아무것도 안해본 것의 실력 차이는 크다. 말소기준권리 = 부동산 경매에서 부동산이 낙찰된 경우 그 부동산에 존재하던 권리가 소명하는가 아니면 그대로 낙찰자에게 인수되는가 가늠하는 기준이 되는 권리이다. 말소기준권리란 말소 및 인수 기준이 되는 권리를 말하는데 말소기준의 권리가 될 수 있는 것은 근저당권, 압류, 담보가등기, 가압류, 강제경매개시결정등기, 전세권 등이 있다. 돈 되는 물건이라도 권리분석을 못하면 무조건 손해를 본다. 어려운 법적 용어가 허들 중 하나지만 어쩌겠는가. ..
-
부읽남 정태익 명언 : 어떻게 살 것인가돈과제테크 2022. 10. 11. 00:18
자 오늘까지는 내가 이렇게 살아왔다 어쩔 수 없어 그럼 앞으로는 어떻게 살 것인가 앞으로...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기를 과거부터 나랑 다르게 온 사람과 지금 현재를 비교하는 거예요. 현재의 나.. 현재의 결과를 비교합니다 아니 분명히 영끌해서 2년 전에 구축아파트를 샀던 애는 나랑 다른길을 살아온 거예요 어쩌면 3년 4년 5년 정도를 다른 길을 살아온 거예요 같이 술 먹는다고 친구가 아니예요 같이 술을 먹는다고 해서 동일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게 아니예요 맥주잔을 짠 한다고 해서 우리가 같은 사고방식으로 사는게 아닙니다. 근데 겉모습만 보고, 같은 학교 나왔고 그냥 같은 연봉이니까 쟤도 나랑 똑같이 살거야 라는 생각을 버리시고 저 사람과 내가 다른점은 무엇일까 그럼 나는 앞으로 어떻게 살 것인가 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