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채의 종류와 의미(용어의 의미)돈과제테크 2024. 7. 25. 21:09반응형
용어용어의 의미
교환사채
EB : Exchangeable Bond채권의 종류. 약정된 기간 중 약정된 비율에 따라 특정한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채권.
주식으로 전환되지 않을 경우 일반채권과 동일한 효과를 가짐.
전환대상인 주식이 발행자의 주식이 아니라 제 3의 기업의 주식이라는 점에서 전환사채와 차이가 있음.변동금리부채권
FRN : Floating Rate Note채권의 종류. 이자율이 사전에 약정된 방식에 따라 시중 이자율에 연동되도록 설계된 채권 보증부 사채
Guaranteed Bond채권에 명기된 발행자의 의무 이행을 제 3자가 보증한 채권. 보증자의 신용도를 고려하여 평가함. 신주인수권부사채
BW : Bond with Warrants채권의 종류. 특정 가격에 발행자의 주식을 구입할 수 있는 권리(Warrant)가 첨부된 채권. Warrant를 채권과 분리할 수 있는
경우 분리 후의 채권은 일반채권과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일반사채
SB : Straight Bond채권의 종류.가장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채권.발행자가 사전에 약정된 이자율을 지불하며, 만기시 액면금액을 지불하도록
약정된 채권.전환사채
Convertible Bond채권의 종류. 약정된 기간 중 약정된 비율에 따라 발행자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채권.
주식으로 전환되지 않을 경우 일반채권과 동일한 효과를 가짐.하이브리드증권
HB : Hybrid Bond주식과 채권의 중간적 성격을 가지며, 일정한 자본적 안정성 요건을 충족하여 감독당국이 은행의 기본자본으로 인정한
증권. 우선주에 가까운 성격을 지닌다.후순위채
SUB : Subordinated Bond선순위 부채들이 모두 상환된 뒤 변제청구권을 갖도록 약정을 맺은 채권.
회사가 파산하거나 정리를 위해 잔여재산을 청산할 경우 선순위 채권들이 우선적으로 변제를 받은 후, 남은 재산으로
변제하게 되는 채권.반응형'돈과제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아파트를 최저가에 사는 방법과 스킬적인 부분 알려드림 (0) 2023.08.15 전세사기 성립 요건 6가지와 실질적인 대책 (0) 2023.05.06 [재무제표] 선수금, 선급금, 예수금, 선대금의 차이점 (1) 2023.04.28 보금자리론 받은 후 추가 주택 취득시 대출 상환해야 한다? (1) 2023.04.03 펀드와 ETF의 차이점 초간단 알려드림 (0) 2022.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