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한국 국력 순위 세계 6위. 일본은?경제 2022. 12. 27. 21:37
한국이 세계 국가별 국력 평가 순위에서 무려 6위라고 한다. 미국 와튼스쿨, BAV그룹이 공동 조사 발표한 결과하고 한다. 전세계 1만7000명을 대상으로 85개 국가의 모험성, 민첩성, 문화적 영향, 기업가정신, 문화적 유산, 이동 인구, 기업 개방성, 국력, 삶의 질, 사회적 목적 등 10개 항목의 점수를 계산해서 순위를 정한 것이다. 한국은 국력 부문에서 수출 호조, 경제적 영향력, 군사력, 외교력, 리더십 역량 등에서 다소 낮은 점수를 받았다고 한다. 하지만 종합점수 63.3점으로 세계 6위를 차지했다. 1위는 미국 2위는 중국 3위는 러시아 4위는 독일 5위는 영국 6위는 한국 7위는 프랑스 8위는 일본 이렇게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그 밖의 순위는 아래와 같다. 9위 아랍에미리트 10위 이스라..
-
가난해진 일본 :: 젊음을 잃은 선진국 :: 1만엔도 비싸다고 손떠는 일본인들경제 2021. 11. 22. 22:02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11199670i?fbclid=IwAR0WSxlqMmrV-vYXn_QBCeLZpd-2DIodiKNywZPIeHASl0Y9nc0981cj0MU 1엔만 비싸도 손 벌벌…일본인들 이 정도로 가난해졌다는데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 1엔만 비싸도 손 벌벌…일본인들 이 정도로 가난해졌다는데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 월급 30년째 안오르자 식도락 문화·애니 경쟁력↓ 부쩍 가난해진 일본…1엔에 목숨걸자 100엔숍만 성장 일 www.hankyung.com 가난해진 일본 -일본 샐러리맨 점심값은 평균 649엔(6680원), 뉴욕 15달러(1만7610원), 상하이 평균 60위안(1만1천원) 입니다. -1997년을 100으로 ..
-
[비과세] 비과세/비과세 소득/비과세 금융상품이란?경제 2021. 10. 7. 20:47
안녕하세요? 비과세란 무엇일까요? 요즘 보면 보험 상품이나 종합 저축 금융 상품에도 비과세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는데요. 비과세가 과연 무엇인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비과세가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일단 과세 라는 단어가 무엇인지 이해할 필요가 있어 보이는데요. 과세(課稅)란 말 그대로 세금을 매긴다. 부과한다는 뜻 입니다. 그럼 당연히 아닐 비(非)자가 들어가는 비과세 라는 단어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다는 뜻이겠죠. 네 맞습니다. 비과세란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다는 아주 쉬운 단어 입니다. 우리가 세금을 내야 하는 의무를 납세의 의무라고 하듯이 반대쪽에서 세금을 걷는 입장에 있는 국세청 등이 국민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권리를 과세권이라고 하는데요. 예를 들면 1세대 1주택자에게 양도 소득세를 비과세 해주거..
-
절세와 탈세의 차이점경제 2021. 2. 5. 01:16
절세와 탈세의 차이점 절세와 탈세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절세와 탈세는 납세자가 세금을 덜 부담하기 위한 행위라는 점에서는 같습니다. 그러나 그 내용에 따라서 합법과 불법을 나뉘고 있습니다. 즉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 있을 때는 절세라고 하나 법을 벗어나면 탈세라고 하는 것입니다. 법을 벗어난 부정 방법으로 세금을 줄이면 그것은 탈세라서 조세범처벌법에 의한 처벌을 받게 되므로 해서는 안되겠습니다. 절세는 세법이 인정하고 있는 바운더리 안에서 세액의 감소 내지 경감을 도모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탈세 및 조세회피와는 구별되는 개념 입니다. 통상 세법상의 각종 특혜 또는 경감 조치를 활용하는 것 입니다. 과거에 비하여 세무행정의 투명성이 날로 강화되면서 특별한 절세의 비법 보다는 세법의 내용을 정확히 알고 세..
-
[흥미] 전세계 부자가 많은 국가 순위. 한국 순위는?경제 2020. 12. 13. 13:46
전세계에서 부자가 많은 국가 순위 한국은 몇위 일까요? 세계지도를 보면 가장 오른쪽에 일본이 있고, South Korea 한국이 보입니다. 일본의 1/3 정도 되는 규모네요. 서쪽으로 보면 미국이 전세계에서 압도적으로 부자가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무려 240,575나 되어 한국보다 3배나 큰 일본에 비교해도 수십배 차이가 나는군요. 역시 오랫동안 세계 패권의 중심이었던 유럽 역시도 수치가 큰데요. 유럽 주요국가들을 보자면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순서로 부자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독일 부자가 일본 부자보다 많다는 점이 인상적이네요. 우리나라는 인도와 비슷한 수준인 것 같습니다. 물론 인도의 인구가 우리나라보다 훨씬 많은 것을 보노라면 한국이 비율적으로는 훨씬 부자가 많은 나라라..
-
현직 근무자가 말하는 배달의 민족이 1등 하는 이유경제 2019. 12. 15. 08:13
1.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요기요 : 매출의 15% 전후 (프로모션 및 계약조건에 따라 상이) 배민 : 울트라콜 8만원 / 매출의 3% 배민라이더 : 매출의 15% 전후 일반 사업자 기준 15%면 정말 높은 수수료율이 됩니다. 그렇기에 요기요는 각종 프로모션을 통해 수수료율을 조정하지만 통상적인 일반 사업자에게 부과하는 금액은 15%가 되죠. 그리고 대형 외식업체의 경우 아주 적은 요율(계약조건에 따라 상이)을 적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수수료가 붙는 배민을 선호하게 됩니다. 또한 배민라이더스의 경우 작성자님의 글의 취지와 비슷하게 배달료는 고객에게 부과합니다. 요기요의 경우 배달료를 따로 설정할 수 있지만 실비로 따졌을 때 추가 비용이 발생됩니다. 배달대행사 관리비 (월고정비) + 건당 배..
-
[필독] 전세금 반환보증보험 믿지 마세요. 돈 못 받아요.(불편한 진실)경제 2019. 9. 29. 22:00
[세입자 필독] 전세보증보험 믿지마라. 충격적인 진실. 요즘 뜨거운 감자인 전세금 반환보증보험 믿고 있다가 전세금 제때 받지 못하고 궁지에 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자. 전세 세입자가 반드시 필독해야 할 정보. 전세보증보험은 무엇이냐. 전세 기간이 끝나고 전세금을 집주인으로부터 돌려받지 못할까봐 걱정해서 드는 말그대로 보험이 아니겠는가? 따라서 요즘(2019년 후반)처럼 깡통 전세가 수도권 일대에 들어나고 있고 집값이 하락하는 하락기에는 우리 가정의 전세금을 지키기 위해서 보험에 가입하는 것이지 않는가? 더군다나 요즘 SBS뉴스나 추적60분인가 하는 TV 프로그램에서 전세금을 가지고 도망간 사기꾼들 특히 빌라나 갭이 작은 아파트를 무작위로 구매한 뒤 부동산을 잘 모르는 신혼부부 등을 등쳐먹은 나쁜 녀..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은 전세자금대출 이용자 가입 불가입니다.경제 2019. 9. 27. 16:13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전세자금대출 이용자는 가입불가 입니다. 열심히 일해서 모든 돈으로 대출까지 받아서 세입자로 사는 것도 기분 엿 같은 일인데 그 소중한 전세금이 별 거지같은 집주인 만나서 떼이게 된다면 얼마나 인생이 꼬이고 잩 같을까요. 전세는 절대로 안전한 제도가 아니며 집주인이 제떼 돈을 돌려주지 못하기라도 하면 경매 넘어가게 되고 경매 넘어가게 되면 낮은 가격에 시작하기 때문에 전세금을 다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매매 전세 갭 차이가 얼마 안나는 집이라면요. 그냥 잩 같은 집주인이랑 같이 망하는 겁니다. 세입자가 무슨 잘못이 있겠습니다. 세입자인게 죄지. 그래서 요즘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에 관심이 뜨겁습니다. 지금 주택시장을 보면 갭 차이가 얼마 나지 않는 아파트나 빌라 주택들..